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24세 청년이라면 놓쳐서는 안 될 꿀팁! 바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입니다.
2025년 3분기와 4분기 신청을 앞두고 계신 청년들을 위해, 최신 정보와 함께 신청 방법, 대상, 그리고 지급일까지 모든 것을 꼼꼼하게 정리해 드릴게요.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!
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이란?
쉽게 말해, 경기도에 사는 만 24세 청년들에게 드리는 생활 지원금 같은 거예요.
3년 이상 쭉 경기도에 살았거나, 살았던 기간을 합쳐 10년이 넘는 분들이 대상인데요. 분기마다 25만 원씩, 1년에 최대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받을 수 있습니다.
학비나 취업 준비, 생활비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서 청년들에게 정말 든든한 힘이 되어줄 거예요!
🎯 2025년 3분기, 신청 대상은?
신청대상
주민등록상 2000년 7월 2일생부터 2001년 7월 1일생까지의 청년이라면 신청 가능해요. 본인 생일이 여기에 들어가는지 꼭 확인해 보세요!
거주 요건 (둘 중 하나만 만족하면 됩니다)
- 신청하는 날짜 기준으로 경기도에 3년 넘게 계속 살고 있거나,
- 경기도에서 살았던 기간을 다 합쳐서 10년이 넘는 분들!
⚠️ 잠깐! 중요한 소식이에요: 신청일 기준으로 주민등록초본상 주소지가 성남시나 고양시라면 아쉽게도 이번 사업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. 이 점 꼭 참고해 주세요.
📆 2025년 3분기 신청기간, 지급일은?
신청 기간
2025년 7월 1일(화) 오전 9시부터 8월 11일(월) 오후 6시까지예요.
지급 예정일
2025년 9월 10일(수)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입니다.
📝 온라인 신청 방법!
신청은 인터넷으로 아주 쉽게 할 수 있어요.
1. '잡아바 어플라이' 접속
2. 회원가입/로그인
3. 메뉴 선택: '경기도 청년기본소득' 신청 메뉴를 찾아서 클릭!
4. 신청서 작성: 이름, 연락처, 주소 등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고, 지역화폐를 받을 시·군을 선택합니다.
5. 필수 서류 첨부:
- 주민등록초본: 정부24에서 발급받는데요, 이때 주민번호 뒷자리랑 지난 5년간 주소 변동 내역이 꼭 나오도록 설정해서 발급해야 해요. (공공 마이데이터 동의하면 자동으로 제출되니 더 편할 거예요!)
- 개인정보 동의: 온라인으로 동의 절차를 진행합니다.
- 기초생활수급자: 해당되면 수급자증명서도 함께 내면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어요.
6. 신청 완료: 다 작성하고 서류도 올렸으면, '신청' 버튼 누르고 제대로 접수됐는지 한 번 더 확인하면 끝!
👇 청년기본소득 신청 바로가기 클릭
💡 신청 전에 이것만 확인하세요!
- 자동 신청 동의했었다면?: 혹시 예전에 자동 신청에 동의했었더라도, 개인 정보가 바뀌었거나 지난 분기 지원금을 소급해서 받고 싶다면 이번에 다시 신청하거나 정보를 수정해야 합니다.
- 지난번에 못 받았던 분들: 이전에 신청했는데 아쉽게 선정되지 못했다면, 이번 3분기에는 새로 신청해야 해요.
- 지역화폐, 어디서 쓸 수 있을까?: 주로 내가 사는 동네의 전통시장이나 작은 가게들에서 쓸 수 있어요. 백화점 같은 큰 곳이나 유흥업소에서는 사용이 안 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. (그리고 9월부터는 학원비나 시험 응시료도 경기도 전역에서 온라인으로도 사용 가능하게 확대될 예정이라니, 정말 유용하겠죠?)
- 궁금한 점은 어디로?: 신청하다가 막히거나 궁금한 게 생기면 청년기본소득 콜센터(☎ 1877-0566)로 부담 없이 전화해서 물어보세요!
지금 바로 신청하세요!
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은 여러분의 삶에 작은 보탬이 되어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. 3분기 신청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, 해당되시는 청년분들은 꼭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셔서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! 여러분의 멋진 앞날을 응원합니다!
🔖 함께 보면 좋은 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