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4대 사회보험

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법|내가 받을 금액은 얼마일까?

by 썬돌 2025. 6. 10.

실업급여 계산기,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하셨나요?

실업급여를 신청하려고 할 때
가장 궁금한 건 “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”라는 부분인데,
직접 계산하기엔 조건이 복잡해서 쉽지 않습니다.

이 글에서는 실업급여 계산기 활용법과 함께,
지급 금액 계산 방식과 수급일수 확인 방법까지
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.

💰 실업급여 금액은 어떻게 계산될까?

실업급여는 ‘1일 지급액’에 ‘지급일수’를 곱해서 계산됩니다.
먼저 가장 기본이 되는 계산식부터 살펴볼게요.

실업급여 계산기

🔹 1일 지급액 계산 공식

1일 지급액 = 평균임금 × 60%

 

여기서 말하는 ‘평균임금’은 퇴직 직전 3개월 동안 받은 총 급여를
실제 근무일수로 나눈 값입니다.

다만, 법적으로 상한액과 하한액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
계산 결과가 해당 범위를 벗어나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.

  • 하한액: 약 64,192원/일 (최저 80% 기준)
  • 상한액: 약 66,000원/일

🔷 지급 기간

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
1년 미만 120일 120일
1~3년 150일 180일
3~5년 180일 210일
5~10년 210일 240일
10년 이상 240일 270일

💬 예: 4년 근무한 55세 → 210일 수급 가능
💬 예: 2년 근무한 29세 → 150일 수급 가능

 

 

실업급여 계산기

🧮 실업급여 계산기, 어디서 어떻게 쓰나?

직접 계산이 어렵다면
공식 실업급여 계산기를 활용하면 훨씬 편리합니다.

🔹 이용 가능한 계산기 사이트

실업급여계산기

 

▶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 방법

      1. 계산기 접속 (예: 고용24)
      2. 월급, 나이, 고용보험 가입기간 입력
      3. ‘계산하기’ 클릭
      4. 1일 금액, 수급일수, 총 예상 수급액 확인

※ 실제 지급액은 고용센터 심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⚠️ 실업급여 계산기 사용 시 유의사항

      • 평균임금은 회사 이직확인서 제출 내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.
      • 수급 중 소득 발생 시 반드시 신고해야 하며,
        기준을 넘으면 감액 또는 수급 중단이 될 수 있습니다.
      • 매년 최저임금이 변동되면 하한액도 달라지기 때문에,
        항상 최신 기준으로 계산하세요.

✅ 지금 계산해 보세요

실업급여 계산기는 내가 받을 수 있는 실업급여 금액과 지급 기간을
미리 확인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도구입니다.

평균임금과 가입기간만 알면 단 몇 초 만에 1일 금액과 총 수급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.

복잡하게 계산할 필요 없이,
고용24 계산기를 적극 활용해 실업급여 준비를 시작해 보세요.

 

🔖 함께 보면 좋은 글